아빠는 잊는다 - W. 리빙스턴 라니드
아빠는 잊는다 - W. 리빙스턴 라니드
『아들아, 들어보렴.
나는 지금 작은 손을 볼 밑에 대고 금빛의 머리칼이 땀에 젖어 이마에 붙은 채 자고 있는 네게 말하고 있단다. 나 혼자 네 방으로 슬쩍 들어왔지. 몇 분 전까지 아빠는 서재에서 글을 읽고 있었는데 후회가 되어서, 숨 막힐 듯이 죄책감이 들어서 네 옆으로 왔단다.
아들아!
아빠가 생각했던 것들이 있어서 네게 화를 냈단다. 얼굴을 그저 수건으로만 문질렀다고 학교에 가려고 옷을 입고 있는 너를 꾸짖었지. 신발을 빨지 않았다고 네게 과제를 내주었지. 네가 물건들을 바닥에 던졌을 때는 화를 내며 소리쳤지.
아침 식사를 할 때도 실수를 찾아냈단다. 네가 음식을 엎었고, 또 음식을 꿀꺽꿀꺽 삼켜버렸으며, 팔꿈치를 식탁에 걸쳤지. 빵에 버터를 너무 많이 발랐지. 네가 집을 나설 때에도 나는 계속했단다. 네가 나를 돌아보고 손을 흔들며 “아빠, 다녀오겠습니다.”라고 인사했을 때 나는 눈살을 찌푸리고 말했단다. “어깨를 펴야지.”
그리고 오후에 또다시 시작했지. 아빠가 밖으로 나가서는, 무릎 꿇고 앉아 구슬치기를 하는 너를 감시했어. 네 양말에 구멍이 나 있었단다. 네 친구들 앞에서 너를 억지로 집으로 데리고 와서 창피를 주었지. 긴 양말은 비싸단다. 네가 직접 샀다면 더 조심했을 거야! 아빠가 그렇게 말하는 듯했구나!
기억하니? 아빠가 서재에서 글을 읽고 있었을 때, 네가 불안한 눈빛으로 얼마나 조심스럽게 들어왔었는지. 아빠가 방해를 받아 초조한 모습으로 네게 눈을 돌리자, 너는 문가에서 머뭇거렸지. “왜 그러니?” 아빠가 무뚝뚝하게 물었지.
너는 아무 말도 안 하고 별안간 폭풍처럼 달려와 아빠 목을 팔로 감싸 안고는 뽀뽀를 했지. 너의 작은 팔은, 하느님이 네 마음에 피어나게 하셨고 무관심조차 마르게 할 수 없는 사랑으로 아빠를 꽉 조였단다. 그러고 나서 너는 돌아서서 후다닥 계단을 올라갔지.
아들아! 얼마 후에 아빠 손에서 읽던 서류는 떨어졌고, 아빠는 끔찍한 두려움에 사로잡혔단다. 어떻게 내게 이런 잘못을 찾아내고 꾸짖는 버릇이 생겼을까? 그것이 아빠의 아들인 네게 대한 보상이었단다. 아빠가 너를 사랑하지 않은 것은 아니란다. 어린 네게 너무나 많은 것을 기대했던 거란다. 너를 나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었단다.
네게는 아주 좋고 훌륭하고 진실한 것들이 많이 있단다. 너의 작은 가슴은 넓은 언덕들을 비추는 여명처럼 밝고 크단다. 그래서 너는 갑자기 아빠에게 달려와서 잘 자라고 뽀뽀해 주고 간 거란다.
아들아, 오늘 밤은 다른 어떤 것도 중요하지 않단다. 아빠는 불 꺼진 방, 네 옆에 와서 이렇게 부끄러워하며 무릎을 꿇고 있다. 이건 아주 미미한 속죄이지. 네가 깨어 있을 때 이 말을 한다면 이해하지 못하리라는 것을 안다.
그러나 내일은 아빠가 진짜 아빠가 될 거란다.! 너와 친구가 되어서, 네가 아파할 때 아빠도 아파하고, 네가 웃을 때 아빠도 웃을 거란다. 짜증 내는 말이 나오려고 하면 입을 다물 거야. 그리고 의식적으로 계속 말할 거란다. “얘는 단지 작은 아이일 뿐이야!”
아빠가 너를 어른처럼 생각한 것이 부끄럽단다. 아들아, 피곤해서 침대에 누워 곤히 자고 있는 너를 보니, 아직 너는 아기구나. 어제 너는 엄마 품에 안겨서 엄마 어깨에 고개를 기댔지. 아빠가 너무 많이, 너무 많이 요구했었구나.』
<아빠는 잊는다>는 한 편의 짧은 기사로 많은 독자들의 심금을 울리며 끊이지 않고 계속해서 재발표되었다고 합니다. 저자 W. 리빙스턴 라니드는 다음과 같이 썼답니다. “수많은 잡지들과 기관들, 전국의 신문들에 실렸다. 많은 외국어로도 번역되었다. 나는 또 학교, 교회, 강단에서 읽고자 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도 인용 허가를 내주었다. 셀 수 없이 많은 행사나 프로그램에서 계속 읽혔다. 신기하게도 대학 신문이나 고등학교 잡지에도 인용되었다. 때때로 작은 기사가 불가사의하게 ‘히트’ 치는 것 같다. 이 경우가 확실히 그렇다.”라고 했습니다.”
가만히 제가 두 아이를 키우던 때를 생각해 봅니다. 첫 아이가 잠이 들기 전에 많은 동요를 불러주었었습니다. 그리고 같이 놀아주기도 했었지요. 그러다가도 아이가 잘못을 저지르면 혼내주곤 했었습니다. 리빙스턴 라니드가 말했듯이 내가 아이를 나의 눈높이로 보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후회스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야! 미안하다.
2020년 8월 2일
소백산 끝자락에서 김 병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