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S(경영정보시스템)

물리적 접속규격(DTE, DSU, DCE 등)

forever1 2007. 9. 30. 17:12
 

물리적 접속 규격(Physical Interface Standards)


  대부분의 단말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NRZ-L(Non-Return to Zero-Level)이나 이의 변형된 디지털 신호를 만들어내지만, 이 신호를 통신 회선을 통해 직접 전송할 수 있는 거리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데이터 단말 장치를 전송 매체에 직접 연결하기보다는 별도의 전송 장치를 통하여 통신 회선에 접속한다. 컴퓨터나 단말기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를 총칭해서 데이터 단말 장치(DTE : Data Terminal Equipment)라 부르며, DTE는 데이터 회선-종단 장치(DCE :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를 통해 통신 외선에 접속된다.


    단말기                                                     호스트컴퓨터

     DTE          DCE                        DCE           DTE

                   (A) 아날로그 전송 회선



    단말기                                                     호스트컴퓨터

     DTE          DCE                        DCE           DTE

                   (B) 디지털 전송 회선


  DCE(Degital Service Unit : 디지털 서비스 장치)의 역할은 DTE로부터의 신호를 부호화(Encoding)하여 전송 매체를 통해서 상대편 DCE에 전송하고, 수신한 신호를 부호화(Decoding)하여 DTE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각 DCE는 상대방과 같은 부호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그림에서는 아날로그 회선이나 디지털 회선을 이용할 경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의 DCE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아날로그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DCE는 모뎀(Modem)이 된다. 송신측 모뎀은 PSK(Phase Shift Keying : 위상변이 변조)나 FSK(Frequency Shift Keying : 주파수 변이 변조) 등의 변조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고 수신측 모뎀은 이 아날로그 신호를 원래의 디지털 파형으로 바꾸어 DTE에게 전달하게 된다.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반드시 이러한 모뎀을 사용하여야 한다.

  디지털 회선의 경우에도 전송 거리가 멀어지면 디지털 서비스 유닛(DSU : Digital Service Unit)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DSU가 DCE에 해당되는데, DSU는 DTE에서 발생하는 NRZ-L 형태의 디지털 신호를 다른 모양의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먼 거리의 전송이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각 DTE-DCE 쌍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둘 사이의 상호 협력을 위한 제어 신호도 교환하게 된다. 데이터 단말기나 전송 시스템의 생산자와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DTE와 DCE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표준안이 개발되어 왔다. 이 표준들을 물리 계층 프로토콜이라 하며 OSI 참조 모델의 계층 1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