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르노삼성·한국GM 운명 가른 노조의 선택

forever1 2018. 2. 27. 07:33



르노삼성·한국GM 운명 가른 노조의 선택

윤정민 입력 2018.02.27. 00:04 수정 2018.02.27. 06:26


5년 전 생산량 반토막 난 르노삼성
임금 동결, 호봉제 폐지 노사 대타협
북미 인기 차종 배정받아 부활 성공
적자 누적으로 위기 맞은 한국GM
노조, 임금인상 요구하며 파업 반복
비인기 차량 할당 받아 악순환 계속
르노삼성 노사는 지난해 10월 3년 연속 무분규로 임금협상을 타결했다. [사진 르노삼성]
“독자 생존이 가능한 사업이 되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지금과 같은 비용 구조로는 사업을 이어가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 메리 배라 제너럴모터스(GM) CEO가 지난 6일(현지시간) 4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한국GM을 두고 한 말이다.

5년 전 한국 자동차 공장에 대해 비슷한 얘기를 한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경영진이 한 명 더 있었다. 제롬 스톨 르노그룹 부회장이다. 2013년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방문한 그는 “그룹 소속 전체 공장을 평가한 결과 부산공장의 경쟁력은 중간 이하”라며 “효율성 개선이 없다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배라 CEO의 경고만큼 당시 그의 어조도 단호했다.

한국GM은 해를 넘겨 임금협상을 마쳤다. 지난해 중앙쟁의대책위 출범식.
그때 르노삼성의 상황은 현재의 한국GM과 비교해 특별히 나을 게 없었다. 2010년만 해도 연간 27만 대 넘게 생산하던 부산공장 생산량은 2013년 13만 대 밑으로 떨어져 있었다. 생산성은 전 세계 르노그룹 공장 19개 중 13위까지 하락했고, 공장 직원 800명이 희망퇴직했다. ‘철수설’이 도는 한국GM처럼 당시 르노삼성 직원들도 회사가 곧 망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 시달렸다. 그러나 르노삼성은 위기를 통해 기회를 찾았다. 노사가 똘똘 뭉친 것이다. 물론 GM과는 달리 르노 본사도 리바이벌 플랜을 통해 적극적으로 신규 자금을 투입했고, 지난해 상반기 북미 지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 1위를 달린 로그 생산을 배정하며 부활을 도왔다. 그러나 생산성 향상을 통해 물량을 추가 확보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낸 핵심 요인은 노사 협력이었다.

특히 르노삼성 노조는 회사가 극도로 어려워지자 2012~2013년 임금을 동결했다. 2015년엔 통상임금 자율합의와 호봉제 폐지 등을 골자로 하는 노사 대타협에 합의했다. 그리고 최악의 상황을 넘긴 뒤에도 위기가 준 교훈을 잊지 않았다. 르노삼성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무분규로 임금·단체 협상을 타결했다. 또 노조는 생산이 차질을 빚으면 사전에 계획되지 않은 특근 요청에도 응하며 힘을 모았다. 덕분에 부산공장은 3년 만에 르노그룹 공장 중 생산성 1위에 올랐고, 생산성 개선이 다시 물량 확대로 이어졌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반면 한국GM의 경우 여전히 노사 모두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한국GM 노조는 적자 기간 연 3~4% 임금이 인상됐고 매년 1000만원가량의 성과급을 받았다. 지난해엔 임금 외에도 3038억원의 복리후생 혜택을 누렸다(중앙일보 2월 24일자 6면). 한국GM의 급여·퇴직급여 지출은 2010년 1조991억원에서 2016년 1조5686억원으로 늘었다. 물론 노조만의 잘못은 아니다. 사측은 미래 발전 방안을 제시하라는 노조의 요청에 대안을 내놓는 대신 무리하게 성과급을 안겨 주며 당장의 임금협상 타결에만 급급했다. 노사 다툼과 생산성 하락은 글로벌 신차 배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잘 팔리는 차가 배정되지 않으면 다시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며 악순환에 빠진다.

한국자동차산업학회장인 김수욱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르노삼성 노조는 확실히 위기를 인식하고 타협을 통해 회생점을 찾았지만 한국GM의 경우 아직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며 “노사 협의를 통해 타협점을 찾는 노력보단 정부의 노력을 요구하고 강조하는 입장만 보여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향후에도 노사 관계는 한국GM의 운명을 결정지을 열쇠가 될 전망이다. 물론 노조의 무조건적 희생을 요구할 순 없으며 GM 본사의 태도 전환, 신규 투자, 정부와 GM의 협상 등도 중요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노사 관계가 이 모든 작업의 출발점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우선 노조의 협조를 통해 ‘투자 타당성’을 개선해야 다음달 초 글로벌 신차 배정에서 경쟁력 있는 차를 받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GM본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잘 안 팔리는 차를 배정하고 “생산성이 낮아서”라고 주장해도 할 말이 없어진다.

또한 노조의 비협조는 정부·GM 간 협상 테이블에서 GM이 큰소리를 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 상황을 보면 장기적인 고용 안정과 미래를 택한 르노삼성 노조와, 당장의 혜택만 생각한 한국GM 노조의 운명이 엇갈린 건 당연해 보인다”며 “지금이라도 노조의 협조를 통해 명분을 확보해야만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