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뉴스

시총 261조 사라진 '검은 10월'..주요국 중 최대 낙폭

forever1 2018. 10. 28. 08:30



시총 261조 사라진 '검은 10월'..주요국 중 최대 낙폭

입력 2018.10.28. 06:15

                          
      
코스닥 25%·코스피 13% 급락..금융위기 후 최고 하락률

(서울=연합뉴스) 증권팀 = 국내 증시가 바닥 모를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10월 들어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는 월간 기준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이후 최대 낙폭을 보였다. 한국 증시는 주요 선진·신흥시장과 비교해도 하락률이 가장 가파른 수준이다.

미중 무역분쟁, 미국의 금리 인상 같은 대외 불확실성 속에 미국과 중국에 대해 의존도가 높은 산업구조, 기업 펀더멘털 불신 등이 충격을 한층 더 키우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 韓 증시 10월에 금융위기 후 최악의 급락

연초 이후 각종 대외 악재로 조정을 받아온 국내 증시는 이달 들어 한층 더 가파르게 하락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26일 현재 코스피는 2,027.15로 마감해 10월 들어서만 315.92포인트(-13.48%) 급락했다.

코스닥지수도 159.20포인트(-19.36%)나 떨어져 663.07로 주저앉았다.

이에 따라 이 기간 코스피 시가총액은 약 209조8천510억원이 줄었고 코스닥 시총은 51조5천290억원이 감소했다. 근 한 달 만에 국내 주식시장에서 약 261조3천800억원의 시총이 증발한 셈이다.

국내 증시의 이달 급락세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나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와 맞먹는 수준이다.

실제로 이달 코스피 하락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0월(-23.13%) 이후 월간 기준으로 가장 높다.

월간 코스피 하락률이 이번 달보다 높았던 사례는 IMF 외환위기 때인 1997년 10월(-27.25%)과 부실기업 정리의 충격이 컸던 1998년 5월(-21.17%), '닷컴 버블'의 붕괴 여파가 작용한 2004년 4월(-15.74%)과 10월(-16.10%) 등 손에 꼽을 정도다.

이달 한국 증시의 추락 속도는 주요국 가운데서도 가장 두드러진다.

특히 코스닥지수의 하락률(-19.36%)은 거의 20%에 가까워 주요 20개국(G20)과 홍콩 등을 포함한 전 세계 27개 국가·지역의 30개 주요 주가지수 중 가장 높았다.

대만 자취안(加權) 지수(-13.78%)와 코스피(-13.48%), 아르헨티나 메르발(-12.3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미중 무역분쟁의 당사국인 중국의 상하이종합지수(-7.89%)나 홍콩 항셍지수(-10.05%)보다 훨씬 더 낙폭이 큰 것이다.

美中무역전쟁에 증시 '휘청' [연합뉴스TV 제공 CG]

◇ 외국인 매도 5년여 만에 최대…수급 공백 커져

무엇보다 외국인들의 주식 매도 공세를 둘러싼 우려가 크다. 채권 시장까지 따져보면 외국인의 '셀코리아'가 본격화됐다고 해석하기는 아직 어렵다는 게 증시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진단이지만 매도 물량이 만만치 않아서다.

실제로 외국인은 이달 들어서만 코스피 시장에서 3조7천900억원, 코스닥시장에서 7천109억원 등 총 4조5천억원 규모의 주식을 팔아치웠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우려로 아시아 시장 전반에서 자금이 빠져나간 2013년 6월(코스피·코스닥 합산 5조1천284억원 순매도) 이후 최대 규모라고 할 수 있다.

구용욱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장은 "미중 무역갈등이 미국 기업의 실적과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위안화의 절하 등 대외 불확실성이 계속되면서 외국인의 '팔자'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창목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외국인의 매도에는 한국 경기 하강 우려와 반도체 업황 둔화 전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에 대한 외국인 매도세는 당분간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민연금이 국내 투자 비중을 줄여나가는 추세인 점 등에 비춰보면 외국인 매도에 따른 수급 공백을 채울 투자 주체는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수급 공백은 작은 악재나 불확실성에도 국내 증시가 더 크게 출렁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창목 리서치본부장은 "국내 기관의 수급 여력이 크지 않아 작은 규모의 매도에도 지수 낙폭이 과도하게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와 시진핑 사이'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4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8 한국국제아트페어(KIAF)에서 관람객들이 전시된 작품들을 감상하고 있다. 2018.10.4 yatoya@yna.co.kr

◇ 미중에 낀 한국…G2 갈등에 증시 강세 전환 당분간 기대 어려워

국내 증시가 이번 조정 국면에서 특히 더 취약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로는 갈등의 당사국인 중국과 미국에 크게 의존하는 한국의 경제 구조가 지목된다.

실제로 한국과 함께 10월 증시 낙폭이 가장 큰 편인 대만도 수출 비중이 크고 미중 사이에서 부품 등 중간재를 공급하는 기업들이 많다.

양기인 신한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중국이 국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 이상으로 높아 무역분쟁에 따른 중국 경기 둔화 우려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경수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무역전쟁의 장기화가 아시아 증시 약세로 연결되고 있다"며 "특히 국내자본시장은 외국인의 유동성 유출입이 자유로워 상대적으로 더 부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미중 무역분쟁이 어떻게 진행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어서 조정 국면이 더 길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뿐만 아니라 미국 경제도 무역분쟁의 악영향을 반영하기 시작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쉽게 반등을 기대할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서영호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최근 미국 기업들의 실적 추정치 하향조정은 향후 한국 기업들에 가해질 펀더멘털 충격에 대한 우려를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라며 "추가 조정 가능성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동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중 무역갈등 해소 여부가 증시 부진 탈피의 핵심 요건인데 주력 수출품목에 대한 불확실한 전망 때문에 시장 회복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윤희도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008년과 달리 금융위기 조짐은 없다"면서도 "향후 장세를 가늠하려면 미중 무역갈등이 어느 정도 해소돼야 한다"고 말했다.

[표] 주요 선진국·신흥국 30개 주가지수 등락률 현황

※ 등락률은 9월말·작년 말과 26일(*표시는 25일) 종가를 비교.

(자료제공: 한국거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