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설명절 보내시고 무자년 복많이 받으세요^^
우리는 해마다 명절을 지냅니다.
각박했던 각자의 일터에서 자신의 일을 잠시 접어놓고...
가족들은 조용했던 시골 마을을 시끌벅적하게 만들고
밤이 깊어도 창 넘어 어둠을 밝히는 불빛은
깊어지는 밤을 잊게 합니다.
이러저런 작은 불평들이 오가도 온정은
더욱 쌓이기 마련입니다.
명절에는 가족 이웃과 서로 덕담을 나누면서
식사를 하는가 하면 조상에 대한 예를 갖춰 차례를 지내고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모두가 넘치는 복을 받기 기원합니다.
설은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신일(愼日)이라고도 합니다.
즉 ‘일 년의 시작이다’ 라는 뜻입니다.
또 삼원지일(三元之日: 일 년의 첫날, 달의 첫날, 날의 첫날) 이기
때문에 원조(元朝)라고도 합니다.(빙허각 이씨, 「규합총서」1881)
설의 참 뜻은 확실하지 않으나
'삼가하다’, ‘설다’, ‘선다’ 등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묵은 해에서 분리되어 새해에 통합되어
가는 전이과정으로 근신하여 경고 망동을 삼간다’는
뜻이 내재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설 명절 기간이 그리 길지 않으나
고대의 설은 정월 초하루 설날부터 15일인 대보름까지 계속되었다고 합니다.
설음식과 상차림 ~~
새해 첫날인 설날은 1년 중 가장 큰 명절로,
예로부터 각 가정에서는 여러 가지 음식을 마련해 왔습니다.
이는 설날이면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또한
세배 오는 손님도 대접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설날에 준비하는 세시음식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떡국입니다
개성지방에서 유래된 조랭이 떡국은 재물과 경사,
풍년 등 길운의 소망을 담고 있습니다.
떡국을 끓일 때 양 모서리를 맞붙여 동그스름한
모양으로 빚어 만든 만두를 넣는데 그 모양이
옛 화폐인 은화와 비슷하며「동국세시기」의 정월편에
‘떡을 돈같이 썰어 국을 끓여 먹는다’ 고
한 점 등을 들어 떡국이 재물을 뜻 한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설날 차례상과 세배 손님 대접을 위해 여러
가지 음식을 준비하는데 이 음식들을 통틀어
세찬(歲饌)이라고 합니다.
세찬을 준비하고 차례를 지내고 세배 손님을
맞이하는 일 등으로 새해 첫날은 무척 분주합니다.
여성 10명 중 8명 이상은 설 연휴를 두려워하는 ‘명절증후군’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좀더 즐거운 명절이 될수 있도록 가족들의 따뜻한 배려와 격려한마디 잊지마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