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십구제의 유래
불교에서는 다른 종교에 비교하여 진리를 설명하는 교리도 풍부하지만 의식도 풍부하다. 의식의 종류를 몇 가지 들어 보면 아침과 저녁으로 올리는 예불 의식과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불공 의식, 부처님께 기도 드리는 기도 의식, 그리고 승려와 신자들이 계(戒)를 받는 수계의식, 종교적으로 영혼을 천도하는 천도 의식 등이 있다.
이제 쓰고자 하는 사십구제의식은 천도 의식에 속하는 것으로서 그 중 가장 중요시 여기는 의식인 것이다.
천도 의식의 종류는 사람이 죽을 때 바로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이 있고, 죽은지 일주일만에 지내주는 초칠일제(初七日祭)가 있고 이주일이 되면 지내주는 삼칠일제, 사칠일제 ...라고 한다. 이 가운데 최후의 칠칠일제(七七日祭)는 사망한지 사십 구일이 되는 천도제라는 뜻으로 사십구제(四十九祭)라고 한다.
이와같이 사십구제를 올려 주는 경우는 대부분 자손과 친척들이 지내 주는 것으로서 이때의 영혼을 유주고혼이라한다. 그러나 우주 공간에는 자손이 없거나 자손이 있어도 사망 일자를 모르는 영혼들이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영혼을 무주고혼이라고 부른다.
그리하여 불교에서는 이들 무주고혼들을 불쌍히 여기고 또 천도하려는 목적으로 육지와 바다에서 천도식을 오려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불교의 자비심에서 비롯된 의식으로서 이를 수륙제라고도 한다.
그런데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천도의식은 사십구제이다. 왜냐하면 인간이 사망한 후 사십구일이 되면 최종적으로 내세의 과보를 받는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들 천도 의식에 대한 학술적인 배경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불교의 윤회설은 원시 불교 시대에 이미 있었지만 이를 좀 더 이론화하고 조직. 체게화한것은 소승불교 시대라 볼 수 있다.
소승 불교의 대비바사론에 의하면 인간이 사망하여 내세에 태어날 때까지의 기간이 있는데 이에 대한 학설이 분분하다. 어떤 학자는 사망하자마자 즉시 내세에 태어난다고 주장하였고, 어떤 학자는 사망 후 즉시 태어나지 않으면 일주일간 허공에 있다가 내세의 인연을 만나 태아나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사망 후 일주일(初七日)이 되어도 내세의 과보를 결정하지 못하면 영혼이 상태에서 다시 죽음을 겪게 되고 또 일주일을 더 기다리다가 그래도 내세(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국)의 과보를 결정할 인연을 만나지 못하면 다시 죽음을 겪게 되며 또 다시 살아나서 삼주일째 내세를 기다리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 하여 4주일,5주일 또는 6주일과 7주일과 사십 구일까지 기다렸다가 사십 구일이면 누구나 내세의 과보를 받게 된다고 하였다. 그런데 어떤 학자는 또 이에 반대하여 일정하게 중유(中有)의 기간을 정할 수 없다고 하였다. 중유는 사람이 사망한 이후부터 내세에 태어날 때 까지의 기간에 있는 영혼을 뜻하는 것으로 그 중유기간설은 설마달다라는 소승 학자가 주장한 49일설이 가장 유력하였던 것이다.
이 49일설이 그 후에 소승 불교의 최고의 논사인 세친보살에 의하여 저술되는 구사론에 나타나 있고 또 대승불교의 논서이며, 유식학의 근본 논전인 유가사지론에도 그대로 실려있다.
이와같이 대승론과 소승론에 49일설이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당시의 불자들은 거의 이 학설을 믿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밖에 경전으로는 지장경을 들 수 있다. 이 지장경은 영혼 천도에 있어서 가장 많이 신앙되고 있는 경전이다. 그런데 이 지장경의 이익존망품에 의하면 중생이 사망하면 즉시 내세의 과보를 받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49일 이내에는 내세의 과보를 받게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 기간에 이승에 있는 친척들이 천도제를 지내주고 선과복을 닦으면 그 영혼은 천당과 극락 세계에 가서 태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유족들도 복덕과 가호를 받게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기록들은 현재 나타난 기록들로서 앞으로 더 연구하면 더 나타날는지 모르나 신라의 고승 둔윤법사도 유가론기에 비바사론과 구사론 그리고 유가사지론의 49일설만 인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상 잘 나타나지않을 것 같다. 아뭏든 위에서 살펴 본 논전과 경전의 기록에 의하여 천도 의식을 올리는 기일이 정해져 내려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러한 기록들에 의하여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는 순간에도 엽불을 해주고 축원을 해주며 또 사망한 지 일주일이 되면 초칠일제를 지내준 것 같다. 그리고 이주일고 삼주일 내지 칠주일인 49일까지 천도제를 올려주는 의식이 발전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같은 천도제를 올리는 가운데에도 49일제를 성대하게 지내주는 이유는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중유 기간의 영혼이 49일이 되면 반드시 내세의 과보를 받게 된다는 신앙에서 비롯된 것이라고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승에 있는 자손과 친천들로서는 극락 세계로 천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생각에서 이날만은 특별히 천도 법회를 하고, 기도하며 축원을 올려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러한 천도 의식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는 알 수 없으나 부처님 당시부터라고도 하지만 그러나 그 후 중유 기간의 설정 문제가 대두되는 것으로 보아 소승불교 시대 전후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천도 의식을 올려주면 그 영혼에게 어떠한 이익이 있게 되는 가?
이는 여러 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우선, 간단히 요약하여 보면 영혼에게는 이승에서 많은 죄업을 쌓았고 또 부모와 처자 그리고 이승에 두고온 재산과 같은 애착물이 많이 있다.
이러한 죄업과 번뇌 그리고 애착심은 지혜의 장애물로 나타나 극락과 천국으로 가려는 판단을 흐리게 하는 요인이 되어 지옥으로 인도하게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염불과 독경의 내용은 이승의 애착을 없애주는 무상의 진리를 설해주고 평소 범했던 잘못된 번뇌심을 깨닫게 하여 주는 진리의 말씀이 가득 차 있다. 이러한 진리의 말씀을 듣는 순간 영혼의 생각은 일단 업력으로 된 이승의 몸을 벗어났기 때문에 매우 예민하여 즉시 그 진리를 께닫게 되며, 곧 지혜를 나투어 올바른 길을 택해 갈 수 있는 혜안이 생기게 된다고 한다.
그리하여 그 영혼은 이승의 애착을 버리고 혼연히 지혜의 눈으로 저승의 선한 세계를 택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구사론에 의하면 영혼(중유)에게는 업력에 따라 보고 들을 수 있는 천안(天眼)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이 천안과 빠른 생각은 아무리 먼 곳에 있는 것이라고 해도 보고 듣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염불과 독경으로 진리롭게 바로 잡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들을 뒷받침하여 천도제를 지내주며 사십구제를 올려주는 유래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을 고친 위대한 산골 밥상 (0) | 2009.01.06 |
---|---|
허리둘레 굵은 사람 '뇌졸중' 적신호 (0) | 2009.01.05 |
복을 부르는 생활습관 (0) | 2008.12.19 |
노인들의 건강관리 (0) | 2008.12.19 |
걸으면 살고 누우면 죽는다 (0) | 2008.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