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주저하는 사이..1000억달러로 아프리카 삼킨 중국
예영준 입력 2018.09.09. 06:01 수정 2018.09.09. 07:04
내정불간섭으로 독재에 눈감고 통크게 차이나머니 투자
베이징으로 옮겨온 아프리카 수뇌부
‘신 조공외교’란 말까지 등장시킨 중국의 힘은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첫 째 요인으로 차이나머니의 위력을 빼 놓을 수 없다. 중국이 아프리카에 깔아 둔 투자액은 1000억 달러(약112조원)를 넘었는데 시진핑 국가 주석은 이번 회의에서 추가로 600억달러를 푼다고 약속 했다.
하지만 차이나머니의 힘 만으로 모든 걸 설명할 순 없다. 중국과 아프리카의 유대 관계는 하루 아침이 아니라 긴 세월을 두고 쌓아 올린 ‘공든 탑’이다. 수십년째 중국을 연구해 온 일본인 전문가는 “중국이 ‘죽의 장막’을 치고 있던 1960년대 천안문 광장에 가면 외국인 10명 중 9명은 아프리카 사람이었다. 유학생 기숙사도 마찬가지였다. 그게 1971년 대만이 유엔에서 축출되고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미국·유럽 손 놓은 사이 중국의 독무대
1963년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가 최초로 아프리카를 방문한 이래 중국의 정상급 지도자가 아프리카를 찾은 횟수는 100 차례를 헤아린다.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집권 6년여 동안 네 차례 아프리카를 순방했다. 올해는 서열 3위의 리잔수(栗戰書)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장과 4위의 왕양(汪洋) 정치협상회의 주석도 아프리카를 방문했다. 반면 아프리카 이민의 후손인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재임 8년간 두차례 방문에 그쳤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엔 렉스 틸러슨 전 국무장관이 한 차례 다녀간 게 전부다. 이 쯤 되면 아프리카는 중국의 독무대나 마찬가지다.
중국의 신식민주의적 행태에 대한 비판이 아프리카 내부에서도 나온다. 경제협력 자금이 아프리카를 빚방석에 올라 앉게 해 영원히 중국 손아귀에서 못 벗어나게 한다는 것이다. 아프리카 자원을 싹쓸이하고 대형 프로젝트에 필요한 물자는 물론 인력까지 중국에서 들여오는 행태에 대한 감정도 좋지 않다.
친중과 반중 감정 동시에 존재
하지만 친중 감정도 동시에 존재하는 것도 엄연한 현실이다.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며 도와 주는 나라에 호감을 갖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수년전 한국의 외교장관이 한 아프리카 국가의 장관과 회담 도중 중국의 행태를 비난했다가 “우리를 아낌없이 도와주는 나라를 욕하지 말라”는 반박을 당한 일이 있다. 하이난 항공과 퉁런(同仁)병원은 짐바브웨ㆍ모잠비크 등의 가난한 백내장 환자에게 시력을 되찾아주는 ‘광명행(光明行)’사업을 15년째 시행하며 1800명에게 무료 수술을 해주었다. 중국식 소프트파워 외교로 효과를 거둔 부분도 있다는 얘기다.
시진핑 "개도국은 중국의 천연 동맹군"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은 경제적 이익에만 그치지 않는다. 중국은 홍해의 입구인 요충지 지부티에서 항만 운영권을 따내고 중국 최초의 해외 군사 기지를 건설했다. 지난 7월 시진핑 주석이 방문한 모리셔스는 인구 120만의 소국이지만 미 해군의 인도양 최대거점인 디에고가르시아를 견제할 수 있는 위치다. 이번 FOCAC의 결과물인 베이징 선언에는 중국과 아프리카의 안보 협력에 관한 내용이 포함됐다.
"왜 국민들 삶은 놔두고 밖으로만 퍼주나"
중국 안에서 비판 받는 아프리카 전략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아프리카 전략에 대한 비판이 중국 국내에서 만만치 않다. 서방 언론처럼 차이나머니를 무기로 한 신(신)식민주의 나 부채 패권주의, 혹은 줄세우기 신조공외교를 비판하는 게 아니다.
아프리카를 비롯한 외국에 돈을 퍼주면서 날로 힘들어지는 중국 서민층의 생활은 왜 방치하느냐는 게 주된 골자다. 시 주석이 FOCAC 회의에서 600억달러 추가 지원을 약속했다는 뉴스가 나온 뒤부터 중국의 인터넷에는 네티즌들의 항의성 댓글이 줄을 이었고 중국 검열 당국은 이를 삭제하기 바빴다. 한 네티즌은 “중국 인민은 정말 살아가기가 힘들다. 지도자들을 먹여 살려야 할 뿐 아니라 아프리카의 형제들까지 먹여 살려야 한다”고 꼬집었다.
네티즌 뿐 아니라 지식인이 실명으로 중국 정부의 과다한 대외원조를 비판하기도 했다. 시진핑 주석의 모교인 칭화 대학의 쉬장룬(許章潤) 법학대학원 교수는 7월 발표한 소논문에서“원칙 없이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지원하면, 중국 국민의 생활을 조이게 된다”고 강조했다. 쑨원광(孫文廣) 산둥(山東)대 전 교수는 8월 외국 매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중국 국내에도 가난한 국민이 많은데, 외국에 돈을 뿌릴 필요가 있나”고 비판하다 연행당하는 일도 벌어졌다.
'국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미군가족소개령 트윗하려다 北 '공격신호' 간주에 접어" (0) | 2018.09.10 |
---|---|
“달러는 침대 밑에 숨겨져 있다” IMF 아르헨티나의 이면 (0) | 2018.09.09 |
'2천억불 中관세' 장전한 트럼프 "2천670억불 추가관세 준비돼" (0) | 2018.09.08 |
"정년 늘리자" vs "죽도록 일만?", 세계는 지금 연금개혁 줄다리기 (0) | 2018.09.07 |
"터키 경제위기, 글로벌 위기로 이어질 수도"-WP (0) | 2018.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