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정보

유두절이란?

forever1 2008. 7. 18. 10:48

     유두절 이란?
     맑은 개울에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 뒤 유두음식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고 나쁜 일도..
     날짜 : 음력 6월 15일 (2008년 7월 17일)
     시절음식 : 구절판, 떡수단, 유두면
     세시풍속 : 물맞이, 머리감기, 유두연, 유두천신.. 

   유두절 유두절식과 폭포물맞이

    money.gif 유두절(음력 6월 15일)- "동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다."

  • 음력 유월 보름날을 유두일이라 한다.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준말인데,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의미이다. 동으로 흐르는 물은 푸르고, 양기가 가장 왕성하다고 한다.
  • 물맞이 - 유두를 신라의 이두(吏讀)로 소두(梳頭, 머리 빗다.), 수두(水頭)라고도 표기하였는데, 수두란 물마리(마리는 머리의 옛말)로서 '물맞이'라는 뜻이다. 오늘날에도 신라의 옛 땅인 경상도 지방에서는 유두를 '물맞이'라고 부르는데,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을 맞았다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 머리감기 - 유두일에는 맑은 개울에 가서 머리를 감고 하루를 즐겁게 보낸다. 그래야 더위먹지 않고 즐겁지 않은 일들을 떨어버린다고 믿었다.
  • 유두연(流頭宴) - 선비들은 술과 안주를 장만하여 시원한 계곡이나 수정(水亭, 연못이나 물가의 정자)으로 가서 풍월을 읊어가며 하루를 즐겼다.
  • 유두천신(流頭薦新) - 유두 무렵엔 햇것이 나온다. 오이, 참외 잘 익은 것 골라 따고 국수와 떡으로 사당에 제사지낸다. 이를 유두천신(流頭薦新)이라 한다.
  • 밀쌈 연병과 수단 - 유두일 음식으로는 유두면, 밀쌈 연병(오른쪽 사진 위), 수단(오른쪽 사진 아래), 건다, 등이 있다. 유두면(국수)을 먹으면 더위먹지 않고 장수한다고 해서 모두 열심히 먹는다. 밀쌈 연병(連餠)은 밀가루 반죽해서 판 위에 놓고 밀대로 밀어 얇게 만들고 기름에 틔기거나 깨와 콩을 묻혀 꿀 발라먹는다. 찹쌀 가루를 쪄서 손으로 비벼 새알처럼 만들어 이가 시린 찬물에 넣고 꿀물을 타서 먹는다. 이것이 수단(水團)이다. 찬물에 넣지 않고 먹으면 건단(乾團). 멥쌀로 만들기도 한다.




 

 
 
 



 

//  //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다가오는 주말이 초복!  (0) 2008.07.18
유두절  (0) 2008.07.18
호랑쥐빠귀  (0) 2008.07.17
[스크랩] 땅나리  (0) 2008.07.17
옥수수 수염의 효능  (0) 200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