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석유처럼, 21세기엔 데이터가 국가 흥망 좌우
하선영 입력 2017.10.14. 01:01
닷새간 2500개 세션 7만여 명 찾아
73세 엘리슨 거침없는 80분 연설
"신에너지와도 같은 중요한 자원
AI에 관리 맡겨야 해킹 등에 안전"
빅데이터 산업 글로벌 경쟁 가열
중국·일본 국가 차원서 지원 나서
한국은 규제 많아 기업 4%만 활용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 전 세계 기업, 정보기술(IT) 전문가, 언론 등 관계자 1만여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래리 엘리슨(73) 오라클 회장은 무대에 선 80여 분 내내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IBM 등과 더불어 미국을 대표하는 전통 IT 기업인 오라클은 매년 가을 샌프란시스코에서 기술자 콘퍼런스 ‘오픈월드’를 개최한다. 샌프란시스코는 오라클 본사가 위치한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시티에서 40㎞ 정도 떨어져 있다.
엘리슨의 기조 연설로 포문을 연 오픈월드 2017에 참가하기 위해 총 7만여 명이 행사장을 찾았다. 5일까지 닷새간 열린 각종 행사와 세션은 2500개가 넘는다. 1986년 500명의 참가자가 전부였던 오픈월드는 30년 만에 어느덧 세계적인 규모의 연례 IT 행사로 자리 잡았다. 오라클을 비롯해 전 세계 IT 기업과 스타트업들은 이 자리에서 소프트웨어의 경향과 신기술들을 대거 선보인다.
77년 오라클의 전신인 시스템개발연구소(SDL)를 설립한 엘리슨은 2014년까지 35년간 최고경영자(CEO)를 역임했다. 자산 522억 달러(약 59조원)의 세계 부자 순위 7위에 오르기도 한 그는 미국에서 손꼽히는 성공한 유대인 사업가다.
현재 오라클 회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엘리슨은 오픈월드 때마다 직접 마이크를 잡고 연단에 올라 자사 기술을 자랑하고 경쟁 기업을 비난한다. 그는 올해 오픈월드에서도 1일과 3일 두 차례 기조연설을 했다. 평소에 즐겨 입는 구깃구깃한 라코스테 피케 셔츠 차림으로 무대에 선 엘리슨은 73세의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화끈하고 힘이 넘쳤다.
이날 엘리슨은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을 처음 공개했다. 12월 출시 예정인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AI) 기술의 핵심인 머신러닝 기능을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DBMS는 마치 인간 직원처럼 데이터베이스를 능동적으로 관리한다. 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패턴을 학습하고 비정상적인 데이터를 스스로 감별해 내는 능력을 갖추기 때문이다. 문제가 있으면 알아서 데이터를 수정(튜닝)하고 정보 수집을 추가로 하겠다는 요청(쿼리)을 보내는 식이다. 직원의 관리나 개입이 필요로 하지 않는 이 시스템은 99.99%의 안정성을 보장한다고 오라클은 설명한다.
엘리슨은 “이 같은 자율기술이 꼭 필요한 분야가 사이버 보안”이라고 콕 집어 말했다. “미국 국민 2명 중 1명은 사이버 위협에 노출돼 있거나 신용카드의 개인정보가 털렸다”며 “비정상적인 데이터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즉각 해결해야 해킹과 사이버 공격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클라우드와 데이터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빅데이터 시대에 더욱 방대해지고 다양해지는 데이터를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선 가상공간인 클라우드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클라우드는 이제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물론 블록체인·인공지능 등을 활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인프라로 자리매김했다. 아마존을 비롯해 오라클·HP·델·마이크로소프트 등 세계적인 IT 기업들이 클라우드 시장에서 피 튀기는 경쟁을 벌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대량의 데이터를 선점하고 운용하는 것이 오늘날 모든 분야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과제여서다. 또 빅데이터에서 함의를 도출하고 더 고급 정보를 뽑아내는 정제 기술이 오늘날 부가가치를 창조하는 가장 뛰어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기도 하다.
데이터의 중요성을 깨닫고 뛰어드는 것은 비단 기업들뿐만이 아니다. 중국은 이미 2014년 구이저우(貴州)성 구이안 신구를 빅데이터 종합시범특구로 선정했다. 2015년에는 빅데이터 산업을 국가 경제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지정하고 “정부 차원에서 전 세계 데이터 시장을 선도하는 빅데이터 전문 기업 10곳을 키우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아직 데이터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일부 대기업과 금융기업이 전략적인 사업의 일환으로 데이터를 고도로 활용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정도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지난해 2월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전체 기업 중 4.3%만이 빅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와 관련한 인프라 구축도 국내에서는 유독 미진한 상태다. 맥킨지앤드컴퍼니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데이터 관련 규제는 미국·유럽은 물론 아시아권에서도 높은 수준에 속한다. 데이터에 접근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와 방법에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아산나눔재단은 7월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제언’ 보고서를 펴내면서 “자본력이 강한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아닌 이상 데이터를 활용하고 이를 통한 기술 개발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대부분 차단돼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방대한 데이터가 국경을 넘나들면서 ‘데이터 주권’도 갈수록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보호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국외로 나가는 정보는 곧 기술·정보 유출과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 오라클은
「 ● 1977년 래리 엘리슨 등 3명이 시스템개발연구소(SDL)라는 데이터 기업 설립 ● 주요 사업 부문 : 전사적자원관리(ERP) 등 기업용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관리, 클라우드 등 ● 경영 실적 : 2016년 매출 370억4700만 달러(약 42조150억원), 순이익 89억100만 달러(약 10조1400억원) 기록 ● 임직원 수 : 전 세계 13만8000명(1989년 한국오라클 설립, 현재 1200명 규모) ● 주요 경영자 : 래리 엘리슨은 2014년부터 회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로, 마크 허드는 최고경영자(CEO)로 재직 중 」
■ [S BOX] SW서 장비까지 임대, 클라우드 서비스의 진화
「 클라우드 서비스란 IT 자원을 물리적으로 소유하지 않는 대신 필요한 만큼만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서비스를 통칭하는 용어다.
중앙 집중된 데이터센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자유자재로 빌려 쓰는 것이 대표적이다. 디스켓·CD·하드디스크 등 물리적인 저장장치에 사용했던 예전 방식에서 벗어나 대량의 데이터를 가상공간에 저장해 두고 쓰는 것도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이다.
초기 클라우드 서비스는 네이버 클라우드나 드롭박스처럼 소프트웨어를 웹에서 쓸 수 있는 SaaS(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가 대부분이었다. 필요할 때면 언제 어디서나 곧바로 프로그램이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중앙에서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업그레이드할 필요도 없다.
최근에는 서버와 스토리지 같은 IT 장비를 대량으로 임대하는 IaaS(서비스 인프라)나 플랫폼을 빌려주는 PaaS(서비스로서의 플랫폼)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개발자들은 PaaS를 이용해 손쉽게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들고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
샌프란시스코=하선영 기자 dynamic@joongang.co.kr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와 d 햇살리는 난독증. LED 렘프로 치료 가능" (0) | 2017.10.19 |
---|---|
亡者묵는 호텔 성업.. 일본 '슈카쓰 산업' 20조원 급성장 (0) | 2017.10.18 |
외로움이 조기사망 부른다..장수의 조건은 '친구' (0) | 2017.10.12 |
스마트폰 중독괴면 뇌 인지 조절능력 떨어진다. (0) | 2017.10.09 |
[고든 정의 TECH+] 스마트 문신으로진단 질병 한다 (0) | 2017.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