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쇠사슬(chain of life)
<옛날 옛적에 누구보다 튼튼하고 견고한 쇠사슬을 만드는 늙은 대장장이(blacksmith)가 있었다. 그런데 대장장이는 정직(正直, honesty)하고 말수가 적은 탓인지 많은 쇠사슬을 팔지는 못했다. 그저 입에 풀칠할 수 있을 정도의 돈만 벌어들였다. 간혹 사람들은 그가 너무 정직하고 성실(誠實, sincerity)해서 탈(頉, bad)이라고 했는데, 그는 이런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오로지 튼튼하고 견고한 쇠사슬을 만드는 일에만 매진(邁進)했다.
한번은 대장장이가 만든 거대한 쇠사슬이 큰 외항선(外航船, an oceangoing ship)의 갑판 위에 닻줄(cable)로 설치되었다. 대장장이는 오랫동안 쇠사슬을 만들어왔지만, 자신의 쇠사슬이 외항선의 중요한 용도로 쓰인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어느 날 밤, 바다에 거친 폭풍우(暴風雨, thunderstorm)가 몰아쳤다. 센 바람과 높은 파도(波濤, wave)로 배는 수시로 암초에 부딪혀 언제 산산조각(broken pieces)이 날지 모르는 위기에 처해 있었다. 배 위에 있는 모든 닻줄을 사용해보았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쇠사슬로 만든 닻줄 역시 거친 폭풍우 앞에서는 그저 종이 한 장처럼 무력했다. 거센 바람과 파도에 닻줄은 이리저리 흔들리다. 결국, 모두 끊어졌고 더 이상 배를 지탱해줄 수 없었다. 선원(船員, sailor)들은 꼼짝없이 죽음을 맞이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바로 그때, 누군가 소리를 질렀다.
“쇠사슬 하나가 남았습니다!”
선원들은 모두 힘을 합쳐 그 거대한 쇠사슬을 힘껏 바다로 던졌다. 배에 탄 천여 명의 선원과 모든 화물(貨物, cargo), 그리고 배의 운명(運命, fate)은 모두 이 거대한 쇠사슬에 달려 있었다. 쇠사슬은 마치 큰 동산처럼 튼튼했다. 그리고 몰아치는 폭풍우 속에서 천여 명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마치 자신의 거대한 손으로 배를 꽉 쥐고 놓지 않으려고 애쓰는 듯했다.
마침내 폭풍우가 걷히고 하늘에서 태양이 모습을 드러냈다. 뜨거운 눈물이 그렁그렁 맺힌 채로 모든 선원은 서로 얼싸안으며 살아난 기쁨을 나누었다.
훗날 사람들은 이 훌륭한 쇠사슬을 만든 대장장이를 위해 성대한 파티를 열어 고마움을 표시했다. 그리고 그날의 명성(名聲, reputation)이 널리 퍼져 대장장이는 전보다 훨씬 많은 쇠사슬을 팔아 풍요로운 노후를 보낼 수 있었다.>
『잘되는 사람의 생각』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노력해도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사람들의 무관심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信念, belief)대로 묵묵히 밀고 가는 사람은 결국에는 자기 분야에서 인정받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일상생활(日常生活, everyday life)에서도 성실하게 자신의 몫을 다하는 사람은 훗날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얻게 된다.
열심히 자신만의 ‘생명의 쇠사슬’을 만드는 사람은 진실하고 의지(意志, will)가 강한 사람이다. 그들에게는 어렵고 힘든 시험을 치러야 하는 때가 바로 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스다.>
그렇습니다. 죽을 때까지 자신을 지켜 줄 수 있는 고급 기술(高級 技術, advanced technology)이나, 지혜, 그리고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인간 존중(人間 尊重, human respect)의 마음이 ‘생명의 쇠사슬’ 아닐까요. 세월이 흐른 후, 이것들이 축적된 하모니가 되어 부자로 존경받으며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입니다.
그저 입으로만 ‘공정(公正)과 정의(正義)’를 부르짖으며, 국민을 현혹하며 먹고 사는 위정자(爲政者, administrator)들, 그리고 형을 죽이고 고모부를 죽였으며, 우리 해수부 공무원을 코앞에서 살해하고 시신을 불태워버린, 천인공노(天人共怒)할 만행(蠻行, brutality)을 저지른 김정은을 ‘계몽군주(啓夢君主, enlightenment monarch)’가 어쩌고저쩌고하며 국민을 혼란에 빠트리는 위정자들의 주변 인물들은 정직하고 성실한 대장장이의 마음을 배워야만 할 것입니다. 말이라고 다 말이 아닙니다.
단기(檀紀) 4,353년(서기 2,020년) 10월 2일
소백산 끝자락에서 김 병 화
'잘되는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할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른 각도로 생각하라(Think from a different angle) (0) | 2021.02.13 |
---|---|
누가 이 나라를 무너뜨렸는가? (0) | 2020.10.18 |
당신의 몸값은 얼마입니까? (0) | 2020.10.01 |
학문(study)은 꾸준한 배움 (0) | 2020.09.05 |
고학력자의 뜻밖의 좌절 (0) | 2020.08.30 |